시동작업
1. 기동회로 (시동회로)
ㄱ. 배터리 용량(V)과 접지 확인 - 배터리 전압체크 12V 이상, (-) 접지 빠져있나 확인
ㄴ. 이그니션(시동) 휴즈 - 보통 엔진룸의 메인정션박스에 있으며 1 또는 2개 들어감
ㄷ. 이그니션 스위치 커넥터 - 특히 시뮬레이션의 경우
ㄹ. 시동 릴레이 점검 [= 이그니션 = 스타트]
ㅁ. 기동 전동기 점검 - ST단자 또는 B단자를 빼놓는 경우 많음
2. 연료회로 (기동회로와 ECU회로는 기본으로 포함하고 점검)
ㄱ. KEY ON 후 인젝터 커넥터의 전압이 나오는지 확인
- 테스터기의 (-)는 항상 접지, 전압이 안나오면 메인릴레이의 불량 또는 탈거이거나 해당 휴즈 등이 탈거임
ㄴ. 연료펌프 커넥터 확인 - 특히 시뮬레이션의 경우
ㄷ. 정션박스에서 연료펌프휴즈, 인젝터휴즈, 연료펌프릴레이, 메인컨트롤(ECU)릴레이 및 휴즈의 유무, 탈거, 불량 확인
3. 점화회로
ㄱ. 파워 TR(트랜지스터)의 커넥터 확인
- 배전기방식의 경우만 / DLI 방식은 점화코일이나 ECU에 파워 TR에 내장되므로 확인불가
ㄴ. KEY ON 후 점화코일 커넥터 탈거 후 전압확인 - 탈거여부 확인
ㄷ. 이그니션 휴즈, 메인(ECU)릴레이, 이그니션코일(점화코일) 휴즈 점검
ㄹ. 페일러 센서가 있는 경우 커넥터 확인 - 점화코일로 전원공급하는 역활
ㅁ. 고압케이블의 단선 및 점화플러그 확인 - 유무
ㅂ. 고압케이블 연결상태 확인 - 빼거나 거꾸로 연결
ㅅ. 크랭크각센서, 캠포지션센서 탈거 여부 확인
- CAS는 보통 기동전동기 반대편에 존재, EF소나타는 특이하게 엔진전면부에 있음. TDC는 캠축 부근에 있음.
* 크랭킹의 횟수는? 고장개수는 몇 개? 키온 해봐도 되나?
* 휴즈의 유무, 탈거, 불량 등을 확인, 릴레이와 커넥터도 확인
* 플라이휠만 돌리면 되기에 수동차량은 밀어서도 시동이 가능하다
* (간단 TIP) 1. 엔진 및 실내 정션박스의 시동 관련 휴즈들과 릴레이 확인 / 2. 각 종 시동 관련 커넥터의 탈거와 위치 확인
* (상식) 휴즈: 역기전력으로부터 보호 / 릴레이: 스위칭 수명을 길게하기 위해 낮은 전류로 높은 전류를 제어
연료관련 휴즈이름: ECU, 이씨유, 메인 / 시동관련 휴즈이름: 이그니션, 시동, 스타트
* 보통 아무것도 만지지 말고 불량을 확인하라고 하면 대부분 쉬운(휴즈나 릴레이)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