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자기진단

시고르 남자 2015. 1. 12. 23:44

(종류)

* 엔진자기진단 - 엔진 파트에 있으며 1~15안 모두 있음

* 변속기자기진단 - 섀시 파트에 있으며 2, 5, 6, 11안에 있음

* ECU자기진단 - 섀시 파트에 있으며 3, 10, 15안에 있음

* ABS자기진단 - 섀시 파트에 있으며 4, 9, 12안에 있음

 

(불량유형)

1. 센서고장 - 거의 없음

2. 단락/단선 - 거의 없음

3. 커넥터 탈거

4. 과거기억 미소거

5. 간혹 고장코드는 안떳는데 불량을 찾아야하는 경우 있음 - 매우 드뭄

 

(관련동영상)

http://cafe.naver.com/allofelectroniccar 그린전동자동차연구소 카페에 가입하면

'10. 자동차기본다지기' 항목에서 볼 수 있음. 등업을 해야하나 승급조건이 매우 간단함.

 

(기본)

* 자기진단문제에서 '정상'은 절대없음 무조건 '불량'임.

* 센서고장 또는 커넥터탈거의 경우 - 규정값을 완전히 벗어남. (예: -40℃)

* 미소거의 경우 - 규정값 이내이거나 근소한 차이

* 보통은 KEY ON시에도 점검이 가능하나 산소센서는 시동이 걸려있어야 불량확인이 가능하며 값이 계속 변화해야 정상.

값이 고정되어 있으면 불량.

 

(자기진단모드 들어가기 - EF소나타 1.8 DOHC / 흡기온센서가 불량일 때)

KEY OFF - (시뮬레이션의 경우) 오른쪽 끝 자기진단기 커넥터 연결 - 자기진단기의 (+)와 (-)를 배터리에 연결 - KEY ON

- 진단기 파워 ON - ENT 키 - '01. 차량통신' - '01. 현대자동차' - 차종선택(24. EF소나타) - 엔진제어 가솔린 - 1.8/2.0 DOHC

- '01. 자기진단'하여 고장부위확인 - ESC - '02. 센서출력'으로 들어가 측정값 확인 - '도움- 기준'에서 (20℃라고 한 경우)확인하여

- 답안지의 규정값에 20℃/3.6V 적고 - ESC 눌러 센서출력으로 다시 나와 '도움 - 기능'을 눌러 -40℃/약 5V 확인 후 적는다.

 

 

1. 흡기온센서(ATS) 점검

기관 3: 기관센서 점검

  자동차 번호 :

비번호

(등번호)

감독위원

   

측정항목

① 측정(또는 점검)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득 점

고장부위

측정값

규정(한계)

고장내

조치사항

센서

점검

흡기온도센서

(ATS)

-40℃ / 약 5V

20℃/약3.6V

흡기온도센서

(ATS) 커넥터

탈거

흡기온도센서(ATS)

커넥터재결합 및

기억소거후 재측정

* 답안지 작성법 - 자기진단은 무조건 '과거기억소거후 재측정'이란 내용을 조치사항에 꼭 적어야한다. 그러나 실제로 실기시험을 볼 때 F1을 눌러서 과거기억을 소거하면 안된다.

* 단자가 4개인 경우 ATS와 MAP이 같이 붙어있다. (예: EF소나타)

[탈거가 아닌데 불량이 뜨는 경우]

고장내용은 '흡기온도센서(ATS) 불량 및 배선단선단락' / 조치사항은 '흡기온센서 교환 및 배선점검, 기억소거후 재측정'

[측정값이 9℃로 나온 경우]

고장내용은 '과거기억 미소거' / 조치사항은 '기억소거후 재측정'

 

2. 냉각수온센서(WTS) 점검

기관 3: 기관센서 점검

  자동차 번호 :

비번호

(등번호)

감독위원

   

측정항목

① 측정(또는 점검)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득 점

고장부위

측정값

규정(한계)

고장내

조치사항

센서

점검

냉각수온센서(WTS)

-40℃ / 약 5V

20℃/약3.6V

냉각수온센서

(WTS) 커넥터

탈거

 냉각수온센서(WTS)

커넥터재결합 및

기억소거후 재측정

* KEY ON 시가 아니고 시동시엔 규정값이 80℃ 정도 임.

* 대부분 라디에이터호스 들어가는 상하부에 위치함.

*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값이 낮아지는 부특성 서미스터이다.

 

3. 흡기압센서(MAP) 점검

기관 3: 기관센서 점검

  자동차 번호 :

비번호

(등번호)

감독위원

   

측정항목

① 측정(또는 점검)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득 점

고장부위

측정값

규정(한계)

고장내

조치사항

센서

점검

맵(MAP)센서

946mmHg

600~810

mmHg

맵센서

커넥터 탈거

맵센서

커넥터재결합 및

기억소거후 재측정

* 답안지 작성법 - 규정값과 측정값의 단위는 항상 맞춰준다.

* 엔진정지, 스로틀 열림이므로 규정값이 '600~810mmHg'이다.

[측정값이 746mmHg로 나온 경우]

정상범위이나 고장으로 뜨는 것이므로 고장내용은 '과거기억 미소거' / 조치사항은 '기억소거후 재측정'

 

4. 공기유량센서(AFS) 점검

기관 3: 기관센서 점검

  자동차 번호 :

비번호

(등번호)

감독위원

   

측정항목

① 측정(또는 점검)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득 점

고장부위

측정값

규정(한계)

고장내

조치사항

센서

점검

공기유량센서(AFS)

878mV / 공회전

900~1150mV

/공회전

과거기억

미소거

과거기억소거후

재측정

[측정값이 '0mV / 공회전'인 경우]

고장내용은 'AFS 커넥터 탈거' / 조치사항은 'AFS 커넥터 재결합 및 기억소거후 재측정'

[측정값이 '4980mV / 공회전'인 경우]

고장내용은 'AFS 불량 및 배선단선단락' / 조치사항은 'AFS 센서교환 및 배선점검, 기억소거후 재측정'

 

5. 스로틀포지션센서(TPS) 점검

기관 3: 기관센서 점검

  자동차 번호 :

비번호

(등번호)

감독위원

   

측정항목

① 측정(또는 점검)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득 점

고장부위

측정값

규정(한계)

고장내

조치사항

센서

점검

스로틀포지션센서(TPS)

0V

0.4~0.8V

스로틀포지션센서(TPS) 커넥터 탈거

스로틀포지션센서(TPS)

커넥터재결합 및

기억소거후 재측정

* 스로틀바디에 위치함.

* 밸브가 닫힌 경우이므로 규정값이 0.4~0.8V'임.

[측정값이 664mV(0.66V)인 경우]

고장내용은 '과거기억 미소거' / 조치사항은 '과거기억소거후 재측정'

[측정값이 0V이나 커넥터를 확인하니 연결되어 있을 때]

고장내용은 'TPS 불량 및 배선단선단락' / 조치사항은 'TPS 센서교환 및 배선점검, 기억소거후 재측정'

 

6. 크랭크각센서(CAS) 및 1 NO TDC 진단

* 고장부위: 캠샤프트포지션센서(CMP), 크랭크샤프트포지션센서(CKP)

-> 규정값과 측정값을 쓰는 란이 없다.(공란), 센서출력값이 없음.

[시동이 걸려있는데 고장코드가 뜨면] 고장내용은 '과거기억 미소거'. 그러나 보통 실기시험장에선 시동이 걸려있는 경우가 없음.

[시동이 꺼져있고 KEY ON 상태에서 확인]

1. 감독관이나 조교에게 물어봐서 시동을 걸어도 되면 크랭킹시도. 안걸리면 '센서불량'이나 '커넥터탈거'임.

시동이 안걸리는데 커넥터가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고장내용은 '크랭크각센서 불량 및 배선단선단락' / 조치사항은 '크랭크각센서교환 및 배선점검, 기억소거후 재측정'

2. 시동걸면 안되면 커넥터위치 확인해서 '탈거'여부만 확인. 탈거되어 있다면

고장내용은 '크랭크각센서 커넥터 탈거' / 조치사항은 '크랭크각센서 커넥터 재결합 및 기억소거후 재측정'

 

7. 산소센서 점검

* 출력되는 전압을 측정. 반드시 측정전 워밍업이 필요함.

* 산소센서배선의 검정이 (+), 회색이 (-)

* 꼭, 디지털 테스터기로 측정

* 배기다기관에 위치. 시동이 걸려있고 센서가 정상이라면 값이 변화함.

[규정값이 '0.1~0.9V / 공회전'으로 주어진 경우]

측정값이 '0.136V / 공회전'이면 '불량'으로 판정 / 조치사항은 '산소센서교환 및 기억소거후 재측정'

[규정값이 안주어졌을 때]

희박: 450mV이하 , 농후: 450mV이상 , 희박농후반전주기: 2초에 1회 이상 -> 이것이 규정값이 됨.

측정값이 '280mV~880mV / 공회전'(2초에 1회이상 반전함)이면 '양호'로 판정 / 조치사항은 '조치사항없음'

 

8. 인젝터 진단

* KEY ON만으로는 측정이 어려움. 시험장은 대부분 시동하면 안되닌 경우가 많아 점검이 힘듬.

* 인젝터분사시간을 보면 측정값이 있고 규정값도 따로 있기는 하지만 1번 인젝터 만의 값이 아니므로 무의미

* 고장부위: 1번 인젝터 / 고장내용: 1번 인젝터 커넥터 탈거 / 조치사항: 1번 인젝터 커넥터 재결함 및 기억소거후 재측정

[탈거가 아닌 경우]

과거기억소거후 고장코드 뜨면 '인젝터 불량' 안뜨면 '과거기억 미소거'이나 시험장에선 시동을 걸거나 과거기억소거를 못하므로

불량판정이 힘들기 때문에 보통 고장내용을 '과거기억 미소거'로 쓴다.

 

9. 아반떼 페이스센서 진단

* 문제가 생겨도 시동이 걸리고 출력값이 없다. 고장부위와 상태만 적어서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