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기 3안 (2013년 개정)
(기관)
1-1. 디젤기관에서 워터펌프와 라디에이터 압력식 캡을 탈거
- 보통은 워터펌프 탈거만 한다. 상태를 확인한다. 날개상태, 누수, 균열 등을 어필하면 좋은 점수 획득.
1-2. 라디에이터 압력식 캡 점검
- 펌프게이지의 바깥은 bar, 안쪽은 PSI임. bar(÷0.98)->kgf/㎠(×14.2)->PSI
- 캡을 아답터에 장착후 테스터에 장착, 연결상태점검, 규정압력으로 펌핑, 10초후 압력값을 읽는다.
기관 1 : 라디에이터 압력식 캡 점검 자동차 번호 : |
비번호 (등번호) |
감독위원 확 인 |
||||||
측정항목 | ① 측정(또는 점검) | ②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 득 점 | |||||
측 정 값 | 규정(정비한계)값 | 판정 (□에“√”표) |
정비 및 조치할 사항 | |||||
압력식 캡 | 0.51kgf/㎠ (10초간 유지못함) |
1.02kgf/㎠ (10초간 유지) |
□ 양 호 ∨ 불 량 |
라디에이터 압력식 캡 교환후 재점검 |
2. 전자제어기관 점검 및 시동: 1~15안 동일
3-1. 흡입공기유량센서탈거
- AFS: 칼만와류(소II), 열막식(아반떼), 베인식(프라이드베타) [보통 에어필터와 스로틀바디 사이에 위치]
- MAP: EF소나타 [서지탱크 위에 위치]
* KEY OFF, 배터리(-) 탈거
3-2. 기관센서점검: 1~15안 동일
4. 디젤기관매연점검: 홀수안
(섀시)
1. 림에서 타이어 탈거 및 재조립
2. 수동변속기 입력축 엔드플레이 점검
- 축을 안쪽으로 밀어 영점조정, 밖으로 당기면서 측정, 눈금 1개가 0.01mm
섀시 2 :엔드 플레이 점검 자동차 번호 : |
비번호 (등번호) |
감독위원 확 인 |
||||||
측정항목 | ① 측정(또는 점검) | ②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 득 점 | |||||
측 정 값 | 규정(정비한계)값 | 판정 (□에“√”표) |
정비 및 조치할 사항 | |||||
엔드플레이 | 0.30mm | 0.05~0.25mm | □ 양 호 ∨ 불 량 |
베어링 조점심 교환후 재점검 |
3. 수동변속기 클러치 릴리스 실린더 탈거 및 공기빼기
- 오일 떨어짐 방지조치 꼭 필요함. 일명 '오페라실린더'
- 공기빼기작업: 클러치 오일통에 오일보충 -> 공기빼기나사에 고무호스연결 -> 반대쪽 호스를 페오일통에 넣고 클러치패달을 여러번 밟아 압을 채운다 -> 에어브리더 나사를 풀면 공기와 함께 오일이 빠진다 -> 공기가 다 나오면 나사를 잠금, 다 빠질때까지 반복
4. 전자제어현가장치(ECS) 자기진단
섀시 4 : ECS 자기진단 자동차 번호 : |
비번호 (등번호) |
감독위원 확 인 |
||||||
측정항목 | ① 측정(또는 점검) | ②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 득 점 | |||||
이상부위 | 내용및상태 | 판정 (□에“√”표) |
정비 및 조치할 사항 | |||||
현가장치 자기진단 |
전좌액츄에이터 | 커넥터탈거 | □ 양 호 ∨ 불 량 |
전좌액츄에이터 커넥터재결함 기억소거후 재점검 |
* ECS 자기진단의 대부분 내용 및 상태는 '커넥터 탈거'가 답이다.
- '현가장치' 또는 '전자제어'에서 들어감
㉠ 액츄에이터(전좌, 전우, 뒤좌, 뒤우 등 위치 꼭 표기) 또는 스텝모터 => 제일 많음
㉡ 조향휠각센서(운전석 스티어링 부근에 존재)
㉢ G센서
㉣ 차고센서
5. 제동력 측정: 홀수안
(전기)
1. DOHC 점화플러그 및 고압케이블을 탈거, 재조립
* KEY OFF, 배터리(-) 탈거 -> 점화코일 커넥터탈거 -> 점화케이블 탈거 -> 점화코일 탈거 -> 점화플러그 탈거
* SOHC - 배기쪽, 21mm / DOHC - 로커암커버 가운데, 16mm
2. 발전기에서 충전되는 전류와 전압 측정
전기 2 : 발전기 점검 자동차 번호 : |
비번호 (등번호) |
감독위원 확 인 |
||||||
측정항목 | ① 측정(또는 점검) | ②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 득 점 | |||||
측 정 값 | 규정(정비한계)값 | 판정 (□에“√”표) |
정비 및 조치할 사항 | |||||
충전전류 | 20A | 없음 | ∨ 양 호 □ 불 량 |
발전기 교환후 재점검 |
||||
충전전압 | 14V | 13~16V |
* 보통은 양호판정이 많다.
* 보통은 시뮬레이션에서 '공전시'에 한다.
(전압측정) 정석은 기동전동기 B단자와 테스터기(+), 접지에 (-)를 연결, 쉽게는 배터리에서 측정
(전류측정) 테스터기(DCA에서 영점조정), 화살표 방향을 배터리 쪽으로 해서 기동전동기 B단자 케이블에 장착
* 조건: 실차, 전기적부하상태, 약간방전된배터리, 2,500RPM
3. 와이퍼회로 점검
전기3 : 와이퍼 회로점검 자동차 번호 : |
비번호 (등번호) |
감독위원 확 인 |
||||||
측정항목 | ① 측정(또는 점검) | ②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 득 점 | |||||
이상부위 | 내용 및 상태 | 판정 (□에“√”표) |
정비 및 조치할 사항 | |||||
와이퍼 회로 | 와이퍼스위치 | 와이퍼스위치 커넥터탈거 | □ 양 호 ∨ 불 량 |
와이퍼스위치 커넥터 재결합후 재점검 |
㉠ 배터리
㉡ 이그니션 휴즈
㉢ 이그니션 스위치(시동스위치) 커넥터
㉣ 와이퍼 휴즈
㉤ 와이퍼릴레이(INT 작동안됨, 와이퍼스위치 OFF 하면 파킹이 안된다)
㉥ ETACS(또는 BCM) (INT 작동안됨, 휴즈를 찾아라)
㉦ 와이퍼모터 커넥터
㉧ 와이퍼스위치 커넥터
[EF소나타 와이퍼 회로]
4. 전조등 측정: 홀수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