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동차

실기 4안 (2013년 개정)

봄내 아저씨 2015. 1. 6. 20:12

(기관)

1-1. 타이밍밸트 탈거

* SOHC: 워터펌프 스프라켓이 벨트에 걸려있는 방식은 6바퀴를 돌려야 마크점이 맞는다.

* DOSH: 캠축 두개 고정용 특수공구, 41mm 스패너 (또는 특수공구) 필요

* 마크점, 장력, 스프라켓, 아이들러 고정나사 꼭 확인

(걸때) 크랭크 축부터 시계반대방향으로 건다. 우측은 팽팽하게, 짝수로 돌려서 마크점을 맞춘다.

 

① 타이밍 마크 정렬(아주 중요)

② 분필로 화살표 표시(재사용의 경우)

③ 텐셔너(원래 같이 교체해야 함. 시험장 꺼는 망가진 경우 있으니 충분히 어필)

* DOHC 풀 때 워터펌프 외측 나사를 반바퀴씩 푼다. -> 41mm 스패너로 내린다. -> 밸트의 상태를 어필하라 -> 마크점까지 돌리고 WP고정

-> 크랭크축 2바퀴 돌리고 -> 다시 마크점을 원래대로 맞추고 WP고정(너무 조이면 마크점 틀어짐) [정석은 토크렌치를 이용하여 조인다]

 

1-2. 캠축 높이 측정하기

- 마이크로미터 사용법 알기 

 

기관 1 : 캠의 높이 점검
  자동차 번호 :
비번호
(등번호)

감독위원
   

측정항목 ① 측정(또는 점검)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득 점
측 정 값 규정(정비한계) 판정
(□“√”)
정비 및 조치할 사항
캠의 높이 39.55mm 38.909mm(한계:-0.5mm) ∨ 
 
양호 재사용가

* 불량일 경우 '캠축교환'

 

2. 엔진시동: 1~15안 동일

 

3-1. CRDI 연료압력 조절기 탈부착

* KEY OFF, 배터리(-) 탈거 -> 6mm 별소켓 탈거 -> 오링 파손 여부 확인, 커먼레일 끝에 위치, 중간에 있는 건 '레일 압력 조절 센서' 임

 

3-2. 자기진단: 1~15안 동일

 

4. 배기가스측정: 짝수안

 

(섀시)

1. (좌 또는 우) 로어암 탈거후 재조립

* 꼭, 규정토크로... 

* 볼조인트나 이상부위 어필

* 스테빌라이저 링키지 탈거 - 플러공구이용 볼조인트에서 너클 분리 - 로어암 고정볼트 제거 및 탈거

 

2. 조향휠 유격 점검 

섀시 2 : 조향휠 유격 점검
  자동차 번호 :
비번호
(등번호)

감독위원
   

측정항목 ① 측정(또는 점검)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득 점
측 정 값 규정(정비한계) 산출근거 판정
(□“√”)
조향휠유격 7mm 45mm 이내 360mm×0.125=45mm    
   

* 바퀴가 돌기 직전까지 좌우로 돌린다. 정석은 시동을 걸고 측정하는 것. 공차상태. 규정값이 안주어지면 '핸들지름의 12.5% 이내'

보통 7~10mm 정도로 거의 대부분 양호

* 정비 및 조치사항을 빠졌으나 만약 있는 경우 불량시 '타이로드 엔드 조정후 재점검'

 

3. 브레이크 캘리퍼 교환 및 공기빼기

* 꼭 바이스플라이어로 유압호스 물려라, 기름천 대고, 동와셔 교체, 캘리퍼분해후 떨어지지 않도록 끈으로 묶어놓는다.

* 피스톤부 누유시 피스톤컵 불량

[공기빼기] 브레이크 통에 오일보충 - 마스터백에서 가장 먼 쪽 공기빼기 나사에 고무호스 연결 - 페달 밟아 유압유지상태에서 공기빼기 나사를 풀고 공기와 오일을 뺀다

* 마스터백에 운전석 쪽에 있으면 RR-FL-FR-RL 순서로 작업한다. 보통은 X자형으로 작업. 앞뒤 차축분배식은 뒤부터 작업.

 

4. 전자제어 제동장치(ABS) 자기진단

* 진단기에서 '제동제어'로 들어간다. 

섀시 4 : ABS시스템 점검
  자동차 번호 :
비번호
(등번호)

감독위원
   

측정항목 ① 측정(또는 점검)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득 점
이상부위 내용 및 상태 판정
(□“√”)
정비 및 조치할 사항
ABS
자기진단
앞좌측 휠센서 커넥터탈거    
∨    
앞좌측 휠센서 커넥터 재결합 및 기억소거후 재측정

 

5. 최소회전반경 측정: 짝수안

 

(전기)

1. 기동전동기 탈부착

* KEY OFF, 배터리(-) 탈거 -> ST단자, B단자 탈거 -> 기동전동기 고정볼트 탈거 -> 기동전동기 탈거 -> M, ST, B단자 구분 -> 조임토크 확인 -> 시동확인

 

2. 메인컨트롤릴레이 점검

* OFF -> OFF / ACC -> ACC / ON -> IG1, IG2 / ST -> ST, IG1

 

전기 2 : 컨트롤 릴레이 점검
  자동차 번호 :
비번호
(등번호)

감독위원
   

측정항목 ① 측정(또는 점검)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득 점
판정
(□“√”)
정비 및 조치할 사항
코일이 여자
되었을 때
               
   
조치사항 없음
코일이 여자
안되었을 때
           

* 불량일 경우 '메인콘트롤릴레이 교환후 재점검'

① IG1(+) --- 접지(-) <다이오드 때문에 극성주의> -> 코일저항 확인, 인젝터 - 배터리 통전확인

② ECU --- ECU -> 코일저항 확인, 연료펌프 - 배터리 통전확인

③ ST --- 접지 -> '딸깍' 확인

④ 인젝터 --- ECU(2) -> '딸깍' 확인

 

3. 방향지시등 회로 점검

① 배터리

② 이그니션 휴즈

③ 이그니션스위치 커넥터

④ 방향지시등 휴즈

비상등 스위치 및 방향지시등 스위치 커넥터

플래셔유니트(릴레이)

⑦ 방향등 커넥터

⑧ 전구상태

[점검방법]

㉠ 비상등을 눌러본다 - 깜박이면 ⑤,⑥은 이상없음. 아니면 그것이 답

㉡ 방향지시등 넣어서 안되면 휴즈 또는 스위치 불량

㉢ 속도가 빨라지면 전구 또는 방향지시등 커넥터 불량

㉣ 속도가 느려지면 전구 용량보다 큰 걸 설치한 경우

㉤ 플래셔유니트 점검요령(부하검사) -> 해야하냐고 어필해라

배터리(+) - B단자 / 배터리(-) - E단자 / L단자 - 전구(+) / 전구(-) - 접지(배터리 -)

 

 

전기 3 : 방향지시등 회로 점검
  자동차 번호 :
비번호
(등번호)

감독위원
   

측정항목 ① 측정(또는 점검)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득 점
이상부위 내용 및 상태 판정
(□“√”)
정비 및 조치할 사항
방향지시등
회로
방향지시등 스위치 커넥터 커넥터탈거    
∨    
방향지시등 스위치 커넥터 재결합 및 재점검

 

4. 경음기 음량 측정: 짝수안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기 5안 (2013년 개정)  (0) 2015.04.19
자기진단  (0) 2015.01.12
실기 3안 (2013년 개정)  (0) 2015.01.05
실기 2안 (2013년 개정)  (0) 2015.01.03
실기 1안 (2013년 개정)  (0) 201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