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1-1. 디젤기관에서 크랭크축 탈거: 강의와 책사진 참고 * 오일팬 - 오일스트레이터 - 크랭크축 스프로켓 - 프론트케이스 - 플라이휠 - 리어케이스 - 커넥팅로드 베어링캡 제거 - 피스톤 제거 (제거할 피스톤은 미리 하사점으로) 1-2. 크랭크축 휨 측정 * 휨측정은 '측정값의 1/2', 메인저널에 직각으로 설치 * 접촉면 이물질제거 * 1칸: 0.01mm * 불량인 경우 '크랭크축 교환후 재점검' 기관 1 : 크랭크 축 휨 점검 자동차 번호 : 비번호 (등번호) 감독위원 확 인 측정항목 ① 측정(또는 점검) ② 판정 및 정비(또는 조치)사항 득 점 측 정 값 규정(정비한계)값 판정 (□에“√”표) 정비 및 조치할 사항 크랭크축 휨 0.02mm 0.15mm 이하 ∨ 양 호 □ 불 량 조치사항없..
(종류) * 엔진자기진단 - 엔진 파트에 있으며 1~15안 모두 있음 * 변속기자기진단 - 섀시 파트에 있으며 2, 5, 6, 11안에 있음 * ECU자기진단 - 섀시 파트에 있으며 3, 10, 15안에 있음 * ABS자기진단 - 섀시 파트에 있으며 4, 9, 12안에 있음 (불량유형) 1. 센서고장 - 거의 없음 2. 단락/단선 - 거의 없음 3. 커넥터 탈거 4. 과거기억 미소거 5. 간혹 고장코드는 안떳는데 불량을 찾아야하는 경우 있음 - 매우 드뭄 (관련동영상) http://cafe.naver.com/allofelectroniccar 그린전동자동차연구소 카페에 가입하면 '10. 자동차기본다지기' 항목에서 볼 수 있음. 등업을 해야하나 승급조건이 매우 간단함. (기본) * 자기진단문제에서 '정상'은..
* 각 안마다 총 3문제씩 나오며 규정값 암기를 잘하고 답안지 작성에 유의하여 실수하지말고 반드시 점수를 획득한다. * 배점은 총 14~18점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 홀수안에선 디젤기관매연, 제동력, 전조등광도측정이 나오고 짝수안에선 가솔린기관배출가스, 최소회전반경, 경음기음량측정이 나온다. * 답안작성시 단위, 소수점, 이상, 이하, 이내 등을 유의한다. * 기준값의 보통은 차량등록년 기준이며 차량기준이라고 하는 경우 차대번호를 확인해야 한다. (출처: http://cafe.naver.com/allofelectroniccar 그린전동자동차연구소 카페) 기능사 실기시험에선 1, 2, 3, 4, 5, 9(광도만), 12번 항목만 암기하면 된다. 1. 매연(디젤기관) - 홀수안 * 시뮬레이션의 경우 배..
1. 공구는 내리는 방향, 당기는 방향. 2. 주변정리 잘하고 분해시 걸리는 부분은 분해한다. 3. 마크점을 잘 확인하여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1.4번 피스톤을 상사점(TDC)로 맞춘다. 4. 파워스티어링 펌프, 스로틀바디, 캠축, 실린더헤드, 크랭크축, 메인저널 베어링(특히 중심부에 있는 3번 메인저널 베어링은 날개가 달린 스러스트타입 베어링이다), 피스톤 분해 등이 문제에 있다. 5. 크랭크축 분해시 피스톤을 먼저 제거한다. 6. 고무망치 활용을 잘하고 항상 분해시 순서와 방향성에 주의한다. 7. 가스켓등 소모품들은 교체해야한다고 어필한다. 8. 실린더헤드, 크랭크축, 캠축 등은 분해조립순서에 주의한다. 풀때는 바깥에서 중앙으로 대각선방향, 조일때는 중앙부터 바깥으로 대각선방향. 9. 피스톤의 1번링..
1. 기동회로 (시동회로) ㄱ. 배터리 용량(V)과 접지 확인 - 배터리 전압체크 12V 이상, (-) 접지 빠져있나 확인 ㄴ. 이그니션(시동) 휴즈 - 보통 엔진룸의 메인정션박스에 있으며 1 또는 2개 들어감 ㄷ. 이그니션 스위치 커넥터 - 특히 시뮬레이션의 경우 ㄹ. 시동 릴레이 점검 [= 이그니션 = 스타트] ㅁ. 기동 전동기 점검 - ST단자 또는 B단자를 빼놓는 경우 많음 2. 연료회로 (기동회로와 ECU회로는 기본으로 포함하고 점검) ㄱ. KEY ON 후 인젝터 커넥터의 전압이 나오는지 확인 - 테스터기의 (-)는 항상 접지, 전압이 안나오면 메인릴레이의 불량 또는 탈거이거나 해당 휴즈 등이 탈거임 ㄴ. 연료펌프 커넥터 확인 - 특히 시뮬레이션의 경우 ㄷ. 정션박스에서 연료펌프휴즈, 인젝터휴즈..
제가 본 기능사 5회차 필기 합격율은 25.8%였고 실기는 2018명이 합격했네요. 응시생이 몇명인지를 몰라 합격율은 잘모르겠네요. 필기볼 때 20명 정도 같은 교실에서 시험을 봤었고 당시 1명이 여성분이었고 실기볼 땐 14명이 같이 시험을 봤었고 그 중 1명이 여성분이셨음. 필기 합격율은 남성보다 낮거나 비슷했는데 실기는 여성의 합격율이 월등히 높습니다. 필기 응시율은 20대>10대>30대>40대>50대>60대 합격율은 40대>30대>20대>50대>60대>10대 필기 응시율이 10대가 높은 건 아마 공고 자동차과 학생들의 응시 때문인 것 같습니다. 합격율이 60대보다 떨어지는 건 이해 안되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간절함'이 원인같기도 합니다. 그 나이에는 그냥 시험삼아 보는 경우가 많고 아직 시간이 많다..
시험장소: 신진공고 시험시간: 08:30 ~ 11:30 (오전) 시험안: 6안 폴리텍대학사건이 국회청문회까지 가는 큰 사건이었기 때문에 원래 작년까지 기능사시험을 실시하지 않았던 신진공고까지 시험장소로 채택된 듯이 보입니다. 골목길을 잘몰라 두리번 댔더니 한 학생이 길을 가르쳐줘서 같이 등교를 하기도 했습니다. 공단에서 나온 직원들이 나와 신분증확인과 핸드폰 반납을 하면서 번호표를 배부하는데 시험자가 직접 번호를 뽑습니다. 그 후 시험장에 입장하면 각 과목의 감독관이 유의사항과 출제 및 표기에 관련하여 설명을 해주는데 이것이 출제 및 채점기준이니 답안지 작성할 때 잘지키시기 바랍니다. 한 15명 정도 같이 시험을 봤는데 각 종목마다 4~5명 씩 조를 나누어 시험을 봤습니다. 전 앞번호를 뽑아서 다른 4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