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4. 6. 22:42 도서
좋은 기업 나쁜 주식 이상한 대주주 / 강성부 지음, 페이지2, 2020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좋은 기업, 나쁜 주식, 이상한 대주주
기업지배구조와 의사 결정 체계의 관계 | 코리아 디스카운트, 창의성 발현을 막는 망국의 병 |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해소 방안은 있는가? | 상속과 가업 승계, 그리고 지배구조 | 개선을 위한 조건 | 거대한 도전에 직면한 한국 재벌 | 좋은 지배구조란 무엇인가? | 사회와 호흡하고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라
1부 다시 못 올 금융 한류의 기회
1장 한국 자본 시장 무엇이 문제인가?
고질병이 된 부동산 자본주의 | 변화가 필요한 한국의 기업지배구조
2장 금융 자본주의로의 전환
이사회 독립을 위한 단초, 이사의 선관주의 의무 | 대주주를 위한 정책 | 비지배주주를 위한 정책 | 모회사 주주를 위한 정책 | 창의력의 용광로 온도를 높여라 | 증세와 규제의 역설 | 진정한 소득주도성장은 배당 증대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 이사회의 독립성 확보 | 전문 경영의 문제: 지주 행세를 하는 마름 | 자본 시장에는 메기가 있어야 한다 | 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 과도하게 높은 오너십 레버리지 | 경제력 집중의 문제 | 독과점보다 큰 문제, 부의 집중과 문어발식 확장| 정치민주화 다음 과제는 경제민주화
3장 ‘지속가능 경영’과 기업지배구조
KCGI와 기업지배구조 개선 | 우리나라 펀드 시장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기업지배구조의 6가지 원칙 |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4장 주주행동주의 펀드의 탄생과 성장
주주행동주의 펀드의 성장과 한국 기업 | 적대적 M&A에 대한 경영권 방어 수단 | 주주행동주의의 등장과 경영권 방어 전략 | 지배구조와 PEF의 역할 | 기업지배구조와 정보 투명성 개선 | ESG 투자의 시대
2부 재벌과 기업의 승계
1장 상속과 승계, 그리고 지배구조 개선
무엇을 물려줄 것인가 | 재벌과 경제력 집중
2장 한국 재벌의 역사
존경받는 1세대, 비판받는 2세대, 공공의 적 3세대 | 재벌의 불법 행위에 엄격한 해외 사례 | 불법 행위에 무딘 한국 재벌들 | 재벌, 존경받는 사회 일원으로 거듭나야 한다 | 한강의 기적과 함께한 재벌의 성장 | 유난히 수명이 짧은 국내 기업들 | Top5로 집중이 심화되다 | 시가총액으로 살펴본 국내 재계 순위
3장 한.중.일 재벌, 어떻게 다른가?
일본의 재벌 자이바츠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새롭게 떠오른 신흥 세력 게이레츠 | 중국 4대 가족과 권력
4장 부의 대물림
상속과 승계의 어려움 | 너무 과도한 상속?증여세 | 엔트로피의 법칙 | 세금, 가업 승계를 어렵게 하는 주된 이유 | 세금 내기 싫어 이민 간다 | 우리나라의 상속?증여세 및 가업 승계 관련 세제 혜택 현황 | 상속 및 증여세제 개선 방향
5장 장수 기업의 조건
짧아지는 기업의 수명 | 기업가에서 자본가로 | 기업 승계와 장수 기업 | 기업가 정신을 계승하는 해외 장수 기업 | 다섯 개에 불과한 국내 장수 기업
6장 성공적 기업 승계 방법
승계 대상: 누구에게 물려줄 것인가? | 승계 시기: 시점이 아니라 준비 여부가 관건이다 | 승계의 정석 1: 돈보다 정신을 물려줘라 | 승계의 정석 2: 사람이 더욱 중요하다 | 승계의 정석 3: 존경을 먹고사는 기업 | 승계의 정석 4: 소유하지 말고 지배하라 | 왜곡된 승계 문화 극복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라
3부 미래 먹거리를 위한 준비
1장 산업구조 변화와 한국 경제
코로나로 인해 빨라진 언택트 미래 시대 | 국내 주요 그룹의 사업구조 변화와 미래 비
전 | 한국의 미래 산업구조와 디지털 뉴딜 | 삼성의 변화 | 절실한 선도 기술 확보, 규제 완화와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
2장 미래 기술의 현재
미래 자동차, 전기차인가 수소차인가? | 전기차 시장의 주도권을 좌우할 2차전지 | 자율주행 기술, 어디까지 왔는가? | 스타링크와 5G, 초연결 사회를 이끌다 | 도심 항공 모빌리티, 하늘을 지배하라 | 꿈의 소재 그래핀의 시대 도래할까? | 일론 머스크가 그리는 미래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과 해결책을 제시한다.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세상을 바꾼 것은 '유한책임회사'이다.
오히려 고전학파의 창시자인 애덤 스미스는 유한책임회사에 반대했고
카를 마르크스는 유한책임회사의 관리자가 과도한 위험을 무릅쓰는 단점이 있어도
자본주의에 엄청난 물질적 진보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견했다는 것이다.
상속, 증여세율을 낮춰야 한다.
우리나라는 2002년 김대중 정부 때 소득세율을 40에서 36퍼센트로 낮춰준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올리고 있다.
역사적으로 지나친 규제와 세 부담은 항상 국력을 쇠퇴시켰고 예상치 못한 계층이 엉뚱한 피해를 입기도 한다.
진짜 부자들은 법의 헛점을 이용해서 이러한 세금을 빠져나갈 구멍이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매우 저평가를 받는 이유는 후진적인 기업지배구조 때문이다.
기업 승계 과정이나 CEO의 범죄가 문제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가장 이슈가 된 사건은 단연 2015년 5월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이 합병 건이었다. (P.164)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업 곤고 구미와 백제인'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P.249)
다섯 개에 불과한 100년 이상의 국내 장수 기업. (P.255)
'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중근, 사라진 총의 비밀 / 이성주 지음, 추수밭, 2019 (0) | 2021.04.16 |
---|---|
돈의 시나리오 / 김종봉, 제갈현열 지음, 다산북스, 2021 (0) | 2021.04.11 |
미국 주식이 답이다 2021 / 이항영, 이승원, 장우석 지음, 예문, 2020 (0) | 2021.04.04 |
공학자의 세상 보는 눈 / 유만선 지음, 시공사, 2020 (0) | 2021.04.03 |
수학으로 생각하는 힘 / 키트 예이츠 지음, 이충호 옮김, 웅진지식하우스, 2020 (0) | 2021.03.30 |